[컴퓨터공학] 46

[운영체제] Hybrid paging/segmentation system

운영체제에 대해 공부한 내용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KOREATECH 김덕수 교수님의 자료와 한밭대학교 임경태 교수님의 강의를 참고하였습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Paging system과 Segmetation system을 다루어봤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두 가지의 장점을 조화시킨 Hybrid paging/segmentation system을 알아보겠습니다. Hybrid paging/segmentation system에서 프로그램 분할 방식은 아래 그림처럼 우선 논리단위의 segment로 분할한 후 각 segment를 고정된 크기의 page들로 분할한 후 메모리에 적재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Hybrid paging/segmentation system에서의 키워드를 살펴보겠습니다. Virtual a..

[운영체제] Segmentation system - Address mapping

운영체제에 대해 공부한 내용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KOREATECH 김덕수 교수님의 자료와 한밭대학교 임경태 교수님의 강의를 참고하였습니다. 이전 포스팅까지 Paging system에 대해 다루어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Paging system과 대비되는 Segmetation system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우선 Segmentation system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Segmentation system이란 프로그램을 논리적 block으로 분할하는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논리적으로 분할하기 때문에 Block의 크기가 서로 다를 수 있습니다. 크기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메모리를 미리 분할하지 않습니다. 또한 메모리크기에 맞춰 분할하기 때문에 내부 단편화(internal fragment..

[운영체제] Paging system - 연관 사상(Associative mapping), Hybrid direct/associative mapping

운영체제에 대해 공부한 내용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KOREATECH 김덕수 교수님의 자료와 한밭대학교 임경태 교수님의 강의를 참고하였습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다룬 Direct mapping의 단점을 보완하는 Associative mapping과 Hybrid direct/associative mapping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Associative mapping 우선 Associative mapping의 키워드인 TLB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TLB(Translation Look-aside Buffer) : PMT를 저장해두기 위한 전용 하드웨어로 Direct mapping의 단점이었던 메모리의 접근 횟수와 PMT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공간의 문제점을 해결해줍니다. 위 그림은 Associative..

[운영체제] Paging system - 직접 사상(Direct Mapping)

운영체제에 대해 공부한 내용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KOREATECH 김덕수 교수님의 자료와 한밭대학교 임경태 교수님의 강의를 참고하였습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Block mapping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Paging system에서의 직접 사상(Direct mapping)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Direct mapping은 Block mapping 방법의 확장, 응용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Block mapping에서 BMT(Block Map Table)를 사용했듯, Direct mapping에서는 PMT(Page Map Table)을 사용합니다. direct mapping에 관련된 키워드부터 정리해보겠습니다. virtual address : v = (p, d) p : ..

[운영체제]블록 매핑(Block mapping)

운영체제에 대해 공부한 내용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KOREATECH 김덕수 교수님의 자료와 한밭대학교 임경태 교수님의 강의를 참고하였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Block mapping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Block mapping에 관련된 키워드부터 정리해보겠습니다. 가상 주소(virtual address) : v=(b, d) b : 블록 번호(block number) d : 오프셋(offset) - 블럭 내에서의 위치 BMT : Block Map Table - 커널 공간의 한 개의 프로세스마다 한개의 BMT를 갖는다. residence bit : 해당 블록이 메모리에 올라가 있으면 1, swap device에 존재하면 0 real address : 메모리의 어디에 올라가 있는지에 대한 주소 ..

[운영체제] 내부단편화, 외부단편화(Internal fragmentation, external fragmentation)

운영체제에 대해 공부한 내용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KOREA TECH 김덕수 교수님의 자료와 한밭대학교 임경태 교수님의 수업을 참고하였습니다. 우선 단편화(fragmentation)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단편화란 메모리 공간이 부분으로 나뉘어서 충분히 사용 가능한 메모리가 남아있지만, 프로세스 할당이 불가능한 상태를 말합니다. 1. 내부단편화 내부 단편화란 메모리 조각(partition)의 크기가 프로세스의 크기보다 클 때 발생합니다. → partition의 크기 > process의 크기 그림처럼 Process1 이 들어가 있는 메모리의 크기가 50MB이지만 Process1의 크기는 40MB여서 아래에 10MB가 남게 됩니다. 이러한 경우를 내부 단편화라고 합니다. 2. 외부 단편화 외부 단편화..

반응형